본문 바로가기

5G, LTE 누가 잘 터지게 하는 걸까? | SKT 유선 Infra 담당자 인터뷰

5G, LTE 누가 잘 터지게 하는 걸까? | SKT 유선 Infra 담당자 인터뷰

MBTI 이미지 출처: 16personalities (Web)

🔴스포주의🔴 오늘 직무 인터뷰에서는 SKT 유선 Infra 담당자님의 직무 온앤오프 반전 모습이 전세계 최초로 공개된다는 사실! 💁 인터뷰 끝까지 집중해주세요! 💁

평소에 스마트폰을 달고 살면, 5G LTE의 품질에 따라 희비 교차하는 순간들이 많습니다. 잘 안 터지고 느리면 답답, 빠르면 시원! 속도와 커버리지 때문에 갈대처럼 변하는 나의 기분, 다들 공감하시죠? 그럴 때마다 간혹 대한민국 5G, LTE 모바일 네트워크는 누가 관리하고 있는지 궁금해지는데요.

우리가 이동하면서 통신을 빠르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건 바로 SKT의 유선 Infra 직무가 무선망과 코어망을 연결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동통신망의 중심인 코어망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안전하고 꼼꼼하게 해주는 곳이 유선 Infra입니다. 우리가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었네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우리가 항상 쓰는 5G, LTE를 잘 터지게 하는 숨은 주역, 유선 Infra 직무 IP전송 Cell 류근호 담당자님을 만나러 가볼까요?

SK Careers Editor 이유리

 

 

 

 

 

 

#직무 ON Interview

Q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선 Infra 직무에서 5년 전 입사 때부터 지금까지 근무하고 있는 류근호입니다.

 

 

 

Q2. 여러 유선 분야 중 어느 영역을 맡고 계신가요?

프론트홀(Fronthaul), 백홀(Backhaul), 백본(Backbone)과 같이 여러 유선 분야가 있는데, 저는 백홀 구간에서 일하고 있어요. 백홀이란 지역망을 집선해주고 데이터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에요. 우리가 통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규모의 회선이 집선되어야 하고, 집선이 된 경우 더 알뜰하게 장애를 우회하는 경로들을 만들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인천의 간석동, 구월동의 기지국 데이터가 합쳐져 남동구의 중심국으로 모이고, 중심국에서 데이터가 다시 인터넷으로 나갈 수 있는 이동통신 코어망까지, 이런 기지국과 중심국 사이에 있는 지역 네트워크를 백홀이라고 합니다.

<알쓸IT잡 용어사전>
*프론트홀: 기지국 안테나에 모인 데이터 신호(RU)를 분산장치(DU, 소위 전화국)로 보내는 링크
*백홀: 모바일 네트워크의 유/무선 데이터를 집선해 백본에 전달해주는 망
*백본: 극도의 높은 대역폭으로 다른 네트워크들의 집합과 연결되는 전국망, 우리가 쓰는 인터넷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Q3. 유선망을 통해 5G, LTE 모바일 네트워크가 잘 터지는 원리가 궁금해요.

5G, LTE가 잘 터지는 이유는 무선의 기지국들을 촘촘히 뒷받침해줄 수 있는 유선망이 있기 때문이에요. 사실상 안테나로 보이는 구간 중에 실제 무선 구간은 적어요. 우리가 육안으로 휴대폰 단말을 보면 선이 달려있지 않지만 빌딩 내부 천장, 지하철 천장만 보더라도 많은 선들이 있거든요. 안테나가 잘 설치 되어있다고 하더라도 그 안테나가 있는 곳까지 다 유선이 설치되어 있는 겁니다. 전국에 5G, LTE 커버리지가 있다고 하면 그만큼 유선 구간이 모세혈관처럼 퍼져 있기 때문에 모바일 네트워크를 잘 터지게 할 수 있는 거예요. 이런 유선망은 산과 들🌿, 바다🏊를 가리지 않고 다 만들어 놨답니다.

 

 

 

Q4. 보통 사람들은 5G, LTE라 하면 무선으로만 연결되어 있는 거 아니냐는 오해를 갖고 있는데, 진실은 무엇인가요?

보통 이동통신이라고 하면 선 없는 전화라서 당연히 무선일 거라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아요. 오해에 대한 진실을 밝히자면, 유선 구간은 무선 구간에 비해 훨씬 많은데 눈에 보이지만 않을 뿐이에요. 반면 무선 구간은 길이로만 따지면 통신에서 1% 미만의 비중을 차지하지만 5G, LTE 품질에 큰 영향을 끼쳐요. 그 말은 무선에 대한 노하우도 중요하다는 거죠.

예를 들어, 제주도에 있는 친구가 서울 신림동에 있는 친구에게 카톡을 한다고 하면, 제주시에 있는 기지국/중심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돼요. 그 데이터는 광주를 거쳐 SKT 둔산사옥까지 갔다가 인터넷을 타고 카톡 서버가 있는 위치까지 찍고 돌아와요. 이 데이터 신호의 왕복 구간은 약 800km이고, 그 중에서 무선 구간은 약 1km 내외예요. 조금만 의식해보면 안테나가 있는 곳에 유선이 있고, 지하철 플랫폼과 같이 가까운 주변에 유선이 많이 있다는 걸 알아차릴 수 있을 거예요.

 

 

 

Q5. 최근 유선 Infra 직무의 신규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이동통신사에서의 유선 Infra 직무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의 회선을 제공을 하기 위한 기초 인프라를 만들어요. 여기서 이동통신 서비스에 맞춰 새로운 솔루션들을 추가하는 걸 신규 서비스라고 해요. 양자암호라는 말 들어 보셨죠? SKT 5GX를 처음 런칭했을 때 양자보안을 통한 데이터 암호화를 유선 Infra에 국내 최초로 도입했어요. 그런 사례가 신규 서비스에 해당돼요.

 

, 5G 서비스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MEC(Multi-Access/Mobile Edge Computing)가 있습니다. 이동통신은 고객이 사용한 만큼 실시간으로 요금을 차단하고 과금하기 때문에 인터넷이 나가는 출구를 제약할 수밖에 없어요. 데이터가 출구를 반드시 거치다 보니 5G의 특성인 끊김 없는 초지연성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까다로워졌어요. 제주도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쓰더라도 대전까지 데이터가 와야 하니까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 MEC에요. 원래는 데이터가 출구 지점으로 가야 하지만 클라우드 게임 같은 특정 서비스는 근처 샛길(short-cut)로 우회할 수 있게 유선 Infra 네트워크 정책을 마련한 것이죠.

 

 

 

Q6. 5G 커버리지를 넓히는데 유선 Infra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들었어요, 그 자세한 역할이 궁금해요.

5G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부터 주파수의 특성이 달라지고 전파가 퍼지게 되면서 커버리지를 형성하기가 불리해졌어요. LTE에서는 주파수가 MHz 혹은 약 1~2GHz 대역이었다가 현재 5G에서는 3~28GHz 정도로 올라갔거든요. 주파수의 대역이 높아지면 커버리지를 형성하기 어려워지고, 주파수의 대역이 낮으면 회절이 잘돼요. 마치 층간소음처럼요. 쿵쿵거리는 발소리가 긴 파장을 일으켜 바닥을 뚫고 아래층에 잘 들리는 원리와 비슷해요. 일상 대화는 짧은 파장의 고주파라서 잘 안 들리는데 말이죠.

 

5G는 주파수의 대역이 높다 보니 같은 장비를 사용해도 LTE와 동일한 지역을 커버하기 어려워서 기지국을 더욱 촘촘하게 설치해야 됩니다. 기지국들을 받쳐줄 수 있는 유선 Infra가 미리 준비 돼있어야 기지국을 세울 수 있어요. 대용량 초고속 데이터 흐름에 비해 부실한 용량의 망을 넣으면 병목 현상이 생기는데, 그럼 통신에 이상이 생기겠죠? 전파를 공중으로 보내는 On-air 단계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유선 Infra가 적절한 용량의 튼튼한 망들을 촘촘히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사전에 갖춰져야 한다는 점이에요.

 

 

 

Q7.국사’라는 곳으로 출장을 많이 가시는 것 같은데, 국사는 무엇이며 그곳에서 습도와 온도를 체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기지국, 중심국, 교환국을 통틀어 국사(혹은 통신사옥)라고 해요. 우선 기지국은 신림동, 대방동 등각 동네마다 있는 곳을 말해요. 전국 기지국만 따져도 네트워크 인프라가 수만 대 이상 시설되어 있어요. 기지국은 보통 우리가 잘 아는 건물 기계실에 설치돼 있고, 안테나가 그곳까지 닿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다 보니 업무상 기지국이나, 중심국, 교환국사와 같은 곳으로 방문을 자주하게 되는 편입니다. 현장감이 조금은 느껴지는 직무라고 할까요?

각 지역에 산발되어 있는 기지국들을 엮어 하나의 지역 거점으로 만들어주는 곳이 중심국(혹은 전화국)인데, 이 곳을 꼭 거쳐야 하는 이유는 유선 Infra에서 통신 장애를 피하고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에요. 구간을 보호하고 구간이 막히면 다른 경로로 갈 수 있도록 네트워크 라우팅을 하는 겁니다. 어떤 선이 끊어졌을 때 미리 촘촘하게 망을 엮어 놔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게끔 설계 해놓는 거예요. 이 개념을 장애 회피라 불러요. 각 기지국에서 중심국까지 오는 네트워크 경로들을 많이 만들어 놔서 몰려오는 걸 막고 돌아서 갈 수 있게 합니다.

최종 국사는 저희가 현재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는 바로 이 건물, 보라매사옥을 포함한 전국에 13개 밖에 없는 교환국입니다. 교환국은 우리가 쓰는 단말에 이동 전화, 데이터, 메시지 등 이동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최종 도착지예요.

습도와 온도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이유는 평소에 통신 Infra와 장비를 세심히 관리해야 고객분들이 통신 장애를 겪지 않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무탈하게 이용하실 수 있거든요. 온도, 습도는 저희가 꾸준히 모니터링 해야 할 지표 중에 일부예요. 통신 장애가 일어날 확률을 낮추는 예방 차원에서 온도, 습도와 같이 주변 환경에 대한 것들을 꾸준히 확인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죠. 실제로 중요 교환국사들은 순찰을 매시간 돌기도 하고, 중심국과 기지국들은 원격 모니터링 등을 통해 감시하고 있습니다.

 

 

 

 

 

#직무OFF Interview

MBTI 이미지 출처: 16personalities (Web)

직무 인터뷰로만 보면 근호 담당자님을 제대로 알 수 없죠. 다음 섹션부터는 담당자님의 부캐  모습을 알아갈 수 있는 질문들이 준비되어 있답니다. 일할 때는 ‘5G, LTE를 조종하는 흑마법사라면, 일상 속에서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좋아하는 파워 INTJ’라고 할까요? 그럼 근호 담당자님의 직무 OFF 반전 모습, 지금 바로 보시죠.

 

 

 

Q8. 소문을 들어보니 SK그룹 연수 멘토로 참가하신 적이 있다고 하는데, SK그룹 연수에서 어떤 멘토링 활동을 하셨나요?

우선 JT로 입사하게 되면 모든 관계사 직원분들과 함께 SK그룹 연수를 받게 돼요. 각 관계사의 역할과 어떤 일을 하는지 공유하며 서로 알아가는 시간을 갖고, SK가 추구하는 경영철학(SKMS)을 배우게 됩니다. 여기서 멘토들은 멘티들에게 현업에서 일하는 방식과 문화를 경험시켜줘요. 그룹과제를 부여하면서 피드백을 해주고, SK人다운 특성이 잘 발화되도록 써포트해준답니다.

 

 

 

Q9. 직무 외적으로 시간 내는 게 쉽지 않으실 텐데, 멘토로 참여하신 계기가 있다면요?

입사 때부터 기회가 되면 한 번은 꼭 하고 싶었어요. 경험상 SK그룹 연수 멘토링을 받아보면, 멘토의 성향과 하는 말들이 앞으로 일하는데 큰 영향을 주더라고요. IP Infra 본부에서 멘토 선발 요청이 왔을 때 본부의 젊고 활기찬 분위기에 힘입어 자원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갓 입사한 주니어 분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기도 했고 제 후배로 들어오는 분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어요. 놀랍게도 제 멘티였던 주니어 사원분이 현재 저희 팀원으로 같이 근무하고 있답니다. 신기하죠?

 

 

 

Q10. 연수 멘토뿐 아니라 최근에 SK 사보에도 출연하셨다고 들었어요. SK 사보에는 어떤 인터뷰 내용이 담겼나요?

회사 밖에서 제가 어떤 생활을 하고 어떻게 사람이 달라지는지, 저의 부캐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줬어요. 평소에 인라인 스케이트 타는 게 취미라 그 모습을 부캐로 보여줬죠. 요즘은 한달에 1-2번 타는데, 코로나 이전에는 주 3회씩 자주 탔어요. 출근길이나 한강 자전거 도로에서 타기도 하고, 심지어는 해외여행 갈 때도 가지고 갔어요. 어릴 때 하지 못했던 취미를 어른이 돼서 하게 된 케이스라고 할까요? (웃음)

 

 

 

Q11. 사내 셀럽들만 출연한다는 SK 사보에 출연하신 소감은 어떤가요?

조금 긴장되기도 했고, 회사 밖에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부캐 모습을 보여주는 게 살짝 민망하기도 했어요. 인생샷도 건지고 이런 기회 아니면 사보 출연을 언제 해보겠냐는 마음으로 출연하게 됐죠.

 

 

 

Q12. 직무 온앤오프 모두 다양한 활동을 하고 계시는데, 사내 활동에 열정적으로 임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타고난 것 같습니다. 작년 사내에서 핫했던 클리프튼의 강점 진단 검사를 받았는데 배움에 대한 열정이 높다고 결과가 나왔어요. 성향상 직무 관련해서도 꾸준히 공부하고, 혼자 있는 시간들은 되도록 알차게 보내려고 하거든요. 인라인 스케이트뿐 아니라 독서모임, 영어회화 스터디, 복싱, 크로스핏, 클라이밍 등 혼자서 해볼 수 있는 취미 활동들은 거의 다 해봤어요. ‘무언가를 배우면서 시간을 보내자라는 마음가짐이 내면에 있는 것 같아요.

 

 

 

 

 

SKT 보라매사옥 밖에서도 열심히 사시는 INTJ 근호 담당자님의 직무 OFF 생활을 살짝 엿보았습니다. 직무 외적으로도 끊임없이 무언가를 배우려고 노력하고, 직무 라이프에서도 유선 Infra 관련 공부를 계속하는 담당자님의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에디터도 취뽀하면 직무 온앤오프 본캐와 부캐를 만들어보려고요. 여러분도 근호 담당자님처럼 자신만의 재밌는 온앤오프 모습을 계획하면서 입사 후에 어떤 삶을 살아갈 것인지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