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수직계열화의 마지막 퍼즐

반도체 수직계열화의 마지막 퍼즐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시장이 호황을 이루면서 보다 효과적인 반도체 생산을 위하여 SK 그룹이 반도체 수직 계열화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맞춰서 SKC는 반도체 소재 사업의 역량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SKC가 반도체 소재 사업에서 자리를 잡게 되면 올초 인수 계획을 밝힌 반도체용 웨이퍼(기판) 생산업체 LG실트론과 특수가스 공급업체인 SK머티리얼즈와 함께 SK하이닉스를 잇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반도체 수직계열화란 반도체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전체 과정을 계열사들이 전부 해결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반도체 수직계열화에서 SKC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알기 위하여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SK Careers Editor 최성우

 

<SKC 전자재료사업팀 장정우 대리>

 

SKC 전자재료사업팀 장정우 대리님과의 인터뷰

 

Q. 먼저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전자재료사업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정우 대리입니다. 저는 현재 팀에서 반도체소재사업 기획과 사업 추진 및 관리를 맡고 있습니다.

 

Q. SKC가 반도체 사업에 참여하게 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A. SKC는 반도체 수직계열화라는 말이 나오기 전인 2012년부터 반도체 시장에 참여할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저희는 예전부터 반도체 시장의 성장성과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 예상하였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반도체 시장에서 SKC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고민하여 신규 아이템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저희는 기존에 SKC가 가지고 있는 화학소재 기술이 반도체 소재 사업을 준비하기에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SKC 화학부문이 가지고 있는 Polyurethan control R&D 기술을 바탕으로 CMP Pad와 같은 고부가 Polyurethan 반도체 소재들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던 도중 SK그룹이 하이닉스를 인수하게 되면서 반도체 사업에서 SK 하이닉스와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Q. 현재 SKC의 반도체 소재 주력 제품은 무엇이 있나요?


    

<연마 공정을 보여주는 사진과 그림>

 

A. 현재 저희 회사의 주력 상품은 CMP Slury, CMP Pad, Wet Chemical 입니다. CMP PAD와 Slurry는 웨이퍼를 화학적 반응(Chemical)과 기계적 힘(Mechanical)을 이용하여 평탄하게 연마(Polishing)하는 반도체 공정에 사용됩니다.


CMP Pa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는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물리, 화학 반응으로 연마해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등 반도체 집적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제품입니다. SKC가 생산하는 PO(프로필렌옥사이드)를 기반으로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만들어 고객사가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여 만들고 있습니다. CMP Slury 는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또는 표면으로 연마입자와 화학물질을 전달하는 매개체입니다. PAD 위에 올린 웨이퍼를 회전시키면서 연마작업이 진행되게 됩니다. 이때 Slury 용액이 나오면서 웨이퍼를 눌러주게 되면서 연마가됩니다.
 

Q. 향후 반도체 시장에 대한 전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 반도체 시장은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가지고 증가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우리 주변에 반도체가 안 들어가는 제품이 없을 정도로 사용처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IOT 관련 기술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상용화 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반도체 시장은 점점 커지게 될 것이라 예상됩니다.


장정우 대리님의 친절한 인터뷰로 SKC의 미래 먹거리 사업인 반도체 소재 사업에 대하여 보다 쉽게 알 수 있었다. 이번 인터뷰를 통하여 SKC는 반도체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미리 준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준비는 좋은 성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SKC의 모습이 점점 성장하는 SKC의 원동력이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