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SK실트론

OO학과는 SK실트론에서 어떤 일을 할까? 제 1편 기계공학과 OO학과는 SK실트론에서 어떤 일을 할까? 제 1편 기계공학과 안녕하세요. 여러분~! SK실트론 취재기자 박승민입니다! 취업을 준비하고 계시는 여러분들이 궁금해하실 만한 내용! 우리 과를 졸업한 후 취업을 하게 되었을 때, 과연 내 전공을 어떤 식으로 활용하게 될지 궁금하셨을 것 같은데요!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SKCE가 나섰습니다! 앞으로 전자과, 물리학과, 재료공학과 등 다양한 학과들을 차례대로 소개 드릴 테니 기대 많이 해주세요!! 오늘은 기계 공학도로서 SK실트론 Smart Capa추진팀에서 근무 중인 권민정 Pro님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SK Careers Editor 박승민 안녕하세요. 저는 SK실트론 Smart Capa추진팀의 권민정 Pro입니다. Smart Capa추진팀에.. 더보기
SK실트론이 SiC 웨이퍼를 주목하는 이유 SK실트론이 SiC 웨이퍼를 주목하는 이유 2020년, SK실트론은 미국 듀폰의 실리콘카바이드(SiC)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하였습니다. SK실트론이 SiC 웨이퍼 시장에 진출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리고 SiC 웨이퍼가 기존의 Si 웨이퍼와 다른 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SK실트론 CSS사업부 정예지 Pro님을 모셨습니다! SK Careers Editor 한유진 안녕하세요. 저는 SK실트론 CSS사업부 정예지 Pro입니다. SK실트론 CSS는 미국 듀폰의 SiC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하며 설립된 SK실트론의 미국 자회사입니다. 저는 SK실트론과 CSS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기획 및 관리하는 PMI*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PMI(Post-Merger Integ.. 더보기
나는 SK실트론으로 출근한다! 나는 SK실트론으로 출근한다! SK실트론 입사를 꿈꾸는 예비 Pro님들! 입사 후 출근하게 되면 어떠한 하루를 보내게 될지 궁금하실 것 같은데요. 에디터가 강주영 Pro님의 출근부터 퇴근까지 함께 하였습니다. SK실트론 3년차 공정기술 엔지니어는 어떤 일을 하는지, 함께 경험해보아요~ SK Careers Editor 이현정 강주영 Pro님의 출근-퇴근 이야기 어떠셨나요? 공정기술 엔지니어가 어떤 하루를 보내는지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는데요. 미세한 차이로 수율과 품질이 급변하는 반도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예비 Pro님들이 SK실트론에서 이와 같은 하루를 보내시길 에디터가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더보기
SK실트론 면접 보는 사람들 주목! SK실트론 신입사원이 들려주는 면접 경험담 SK Careers Editor 한유진 더보기
친환경적인 반도체 소재 기업이 되기 위해서 ‘친환경적인’ 반도체 소재 기업이 되기 위해서~! SK실트론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분야를 강화하는 ‘ESG 경영’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를 실현하고자 힘쓰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친환경 부문에 있어서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그동안의 노력과 일궈낸 성과까지, SK실트론 정지민 Pro님께 듣고 왔습니다. 예비 Pro님들도 함께 해요! SK Careers Editor 이현정 안녕하세요. SK실트론 ESG 추진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지민 Pro입니다. 제가 하는 일은 ESG 각 영역에서 선정한 안건을 중심으로 로드맵을 수립하는 일인데요. 환경 분야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자면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Carbon Trust와 같은 Glo.. 더보기
2021하반기 SK실트론 채용 Q&A 2021하반기 SK실트론 채용 Q&A 🌿 SK Careers Editor 한유진 더보기
SK실트론 인턴부터 신입사원까지😊 SK실트론 인턴부터 신입사원까지😊 예비 Pro님들이 SK실트론의 인턴과 신입사원 채용에 관심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그래서 에디터가 이 2가지를 모두 경험해보신 분을 직접 만나보았습니다. ‘19년 하계 인턴 과정을 수료하고, ‘20년 신입사원으로 입사한 Pro님의 경험담! 함께 들으러 가보실까요? SK Careers Editor 이현정 안녕하세요. 저는 Wafering 개발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박지민 Pro입니다. 기계공학을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하던 도중, SK실트론의 하계 인턴을 하게 되었고 이후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하여 2년째 근무 중입니다. 현재 장비 개조, 부자재 절감 등 품질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차세대 Wafer를 개발하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석사 과정 때 AI 딥러닝을 통해 Particl.. 더보기
SK실트론의 웨이퍼 이야기 (제 2장) SK실트론의 웨이퍼 이야기 (제 2장) SK실트론의 웨이퍼 이야기! 지난 시간에는 웨이퍼의 정의부터 재료, 명칭까지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웨이퍼 제조 공정에 대한 이야기를 알려드릴게요. 예비 Pro님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웨이퍼 공정 과정 이야기! 지금부터 시작해볼까요? SK Careers Editor 이현정 웨이퍼를 만드는 과정은 크게 5개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Growing 공정 잉곳을 만들고 블록 단위로 자릅니다. Shaping 공정 블록 형태의 잉곳을 와이어를 이용해 절단한 후, 모서리를 둥글게 다듬어 낱장의 웨이퍼를 만듭니다. Polishing 공정 물리적/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웨이퍼를 평평하게 만듭니다. Cleaning 공정 웨이퍼에 남아있는 연마제 등 각종 오염을 제거합.. 더보기